
구조 client -> nginx -> WAS 이슈 PWA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https를 적용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. https를 적용하기 위해 certbot으로 SSL을 적용하려고 했으나, ip에는 SSL을 적용할 수 없었습니다. 해결방안: sslip를 이용하여 ip를 domain처럼 속여 SSL을 적용 sslip 동작과정 저는 xip.io의 DNS를 사용했습니다. 따라서 예제는 xip.io이지만 아래의 사이트에서 다른 DNS를 사용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https://sslip.io/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 *.xip.io를 받아 domain처럼 바꿔줍니다. sslip 적용 ip에 sslip.io에서 제공하는 DNS를 추가하여 domain처럼 인식하게 합니다. 이제 domain..

PWA란? PWA는 Progressive Web Apps의 약자입니다. Web App을 만드는 접근방식 중 하나입니다. PWA를 왜 적용해야하나요? 캐싱을 활용하여 오프라인에서도 작동합니다. 설치를 할 수 있어 앱처럼 접근할 수 있습니다. PWA 적용하기 최종 디렉토리 구조 이미 있는 Project에 PWA 추가 vue가 존재하는 Root Directory로 이동합니다. vue add @vue/pwa registerServiceWorker.js 캐시를 저장 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. Cookie의 Proxy 역할을 합니다. Client -> ServiceWorker -> Server로 요청합니다. 캐싱되어 있다면 오프라인에서도 정작 파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https로 설정된 호스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dfs
- 2020 카카오 인턴십
- 그리디
- DP
- Idempotent
- 단계별로 문제풀이
- 열혈강의
- repository
- programmers
- spring boot 2.3.1
- Summer/Winter Coding(~2018)
- Algorihtm
- Python
- 이것이 코딩테스트다
- 정렬
- Algorithm
- binary search
- 구현
- bfs
- 코틀린
- OS
- 백준
-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
- git
- 자료구조
- 깃
- 저장소
- 알고리즘
- BOJ
- 그래프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