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Kotlin(native / JVM)으로 풀어보기 2739 구구단 (native) fun main() { val target = readLine()?.toInt() ?: 0 for (i in 1 until 10) { println("$target * $i = ${target * i}") } } 10950 A + B - 3 (native) fun readInt() = readLine()!!.split(' ').map { it.toInt() } fun main() { val count = readLine()?.toInt() ?: 0 for (i in 1..count) { println("${readInt().sum()}") } } 8393 합 (native) fun main() { val n = readLi..

Kotlin(native / JVM)으로 풀어보기 2557 Hello World! (native) fun main() { println("Hello World!") } 10718 We love kriii (native) fun main() { for (i in 1..2) { println("강한친구 대한육군") } } 10171 고양이 (native) fun main() { println("""\ /\ ) ( ') ( / ) \(__)|""") } 10172 개 (native) fun main() { println("""|\_/| |q p| /} ( 0 )""${'"'}\ |"^"` | ||_/=\\__|""") } 1000 A + B (native) fun readInt() = readLine()!!...

객체 지향의 사실과 오해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객체의 정의를 내릴 수 있었다. 2019년 7월쯤 읽었던 것으로 기억한다. 책을 다시 읽는 이유 다른걸 해야 한다는 핑계로 2/3 정도만 봤기 때문 책을 다시 읽었을 때 객체에 대한 정의가 같은지 확인하기 위해 오브젝트 위의 책과 동일한 저자분이신 조영호 님이 쓰신 책이다. '객체 지향의 사실과 오해'는 글 위주라 조금 지루했는데, '오브젝트'는 코드가 섞여 있어 상당히 흥미로울 듯 하다. 책을 읽는 이유 책의 이름만 봐도 객체(Object)다. 객체 지향의 사실과 오해의 책과 얼마나 다른지 확인하고 싶어서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'기억보단 기록을'블로그의 주인이신 jojoldu(God)님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Algorihtm
- spring boot 2.3.1
- 열혈강의
- 구현
- OS
- 자료구조
- 정렬
- 이것이 코딩테스트다
- repository
- Algorithm
- git
- 저장소
- 깃
- 알고리즘
- 그리디
- Summer/Winter Coding(~2018)
- dfs
-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
- 백준
- Python
- DP
- binary search
- 코틀린
- 단계별로 문제풀이
- BOJ
- 2020 카카오 인턴십
- Idempotent
- 그래프
- bfs
- programmer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